진 (성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陳, 秦, 晉, 眞)은 동아시아의 성씨로, 한국에서는 네 가지 한자가 모두 사용된다.
진(陳)씨는 중국 춘추시대 진나라 공족의 후손에서 유래되었으며, 한국에는 여양, 삼척, 강릉 등 47개의 본관이 존재한다. 2015년 대한민국 인구조사에서 159,339명으로 48위를 차지했다. 주요 인물로는 진의종, 진념, 진대제 등이 있다.
진(秦)씨는 중국에서 다양한 기원을 가지며, 한국에서는 풍기, 진주, 남원 등을 본관으로 한다. 풍기 진씨는 당나라 장수 진필명이 신라에 귀화한 데서 시작되었고, 진주 진씨는 고려 시대 진욱을 시조로 한다. 2015년 기준 인구는 19,301명이다.
진(晉)씨는 주나라 진나라에서 유래되었으며, 한국에는 남원 진씨가 존재한다. 2015년 인구조사에서 7,566명으로 조사되었다.
진(眞)씨는 백제의 8대 귀족 성씨 중 하나로, 서산 진씨가 유일한 본관이다. 2000년 인구조사에서 1,579명으로 조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성씨 - 본관
본관은 한국 씨족의 발상지를 나타내는 지명으로, 신라 말기부터 고려 초기에 형성되어 문벌 귀족의 권력 유지에 기여했으나 조선 시대 이후 관념적 혈연 의식으로 변화하였으며, 현재는 다양한 성씨와 함께 존재하나 사회적 중요성은 감소하고 있다. - 한국의 성씨 - 대성팔족
대성팔족은 백제를 건국한 여덟 개의 주요 가문으로, 백제의 정치, 경제, 사회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사회를 이끌었으나, 후기로 갈수록 왕족 부여씨의 영향력 확대로 쇠퇴한 가문이다. - 중국의 성씨 - 본관
본관은 한국 씨족의 발상지를 나타내는 지명으로, 신라 말기부터 고려 초기에 형성되어 문벌 귀족의 권력 유지에 기여했으나 조선 시대 이후 관념적 혈연 의식으로 변화하였으며, 현재는 다양한 성씨와 함께 존재하나 사회적 중요성은 감소하고 있다. - 중국의 성씨 - 백가성
백가성은 중국 성씨들을 모아 놓은 것으로, 남송 시대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송나라 초기에 항저우 지역에서 창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504개의 성씨로 구성되어 '조전손이'로 시작하며 한국에도 영향을 주었고 현대 중국에는 희귀한 성씨들도 존재한다.
진 (성씨) | |
---|---|
진(陳) | |
한글 | 진 |
한자 | 陳 |
로마자 표기 | Jin |
주요 본관 | 강릉(江陵) 경주(慶州) 광동(廣東) 나주(羅州) 남양(南陽) 안동(安東) 여양(驪陽) 진주(晋州) 해주(海州) |
진(晉) | |
한글 | 진 |
한자 | 晉 |
로마자 표기 | Jin |
진(秦) | |
한글 | 진 |
한자 | 秦 |
로마자 표기 | Jin |
진(眞) | |
한글 | 진 |
한자 | 眞 |
로마자 표기 | Jin |
2. 진(陳)
진(陳)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159,339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48위이다. 본관은 여양, 삼척, 강릉, 나주, 광동, 남해, 덕창, 신광 등 47본이 있다.
중국 송(宋) 복주(福州) 사람인 '''진수'''(陳秀)가 요금(遼金)의 난을 피해 고려에 건너와 여양현(驪陽縣) 덕양산(德陽山) 아래에 정착한 것이 시초라고 한다.
- '''삼척 진씨'''(三陟 陳氏): 시조 '''진경'''(陳鏡)은 고려 태조 때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에 올랐다고 한다.
- '''여양 진씨'''(驪陽 陳氏): 시조 '''진총후'''(陳寵厚)의 아들 '''진준'''(陳俊)이 고려 명종조에 참지정사(叅知政事)·판병부사(判兵部事)를 지냈다.[3]
- '''나주 진씨'''(羅州陳氏): 시조 진온(陳溫)은 여양 진씨 시조 진총후의 증손자이다.
- '''강릉 진씨'''(江陵 陳氏): 시조 진신언(陳臣彦)은 여양 진씨 시조 진총후의 11세손이다.
- '''남해 진씨(南海陳氏)''': 시조 진우(陳禑)는 고려 조에 예빈사사(禮賓寺事)를 지냈다.
- '''덕창 진씨(德昌陳氏)''': 시조 진역승(陳力升)은 고려시대에 사재사경(司宰寺卿)을 지냈다.
- '''광동 진씨'''(廣東陳氏): 시조(始祖) '''진린'''(陳璘)은 정유재란 때 명나라 도총관(都摠管)‧전군도독부도독(前軍都督府都督)으로서 이순신과 더불어 왜적을 물리치는데 공을 세웠다.
2. 1. 중국 진(陳)씨
진(陳, 병음: Chen, 천)씨는 중국 성씨 인구 5위이다. 진(陳), 유(劉), 백(白), 사(謝)씨 계통이 많으며, 그 외 여러 소수 민족이 사용하는 성씨로 10가지 정도의 계통이 있다. 춘추시대 진(陳)나라 공족 규(嬀)성 후손들이 국명을 따서 진(陳)성이 되었다. (종성은 규(嬀)성, 왕(王)/손(孫)/전(田)/정(丁)/육(陸)/설(薛)/요(姚)/문(文)/차(車)등 성씨들의 일부 혹은 전부는 진씨에서 갈라져 나간 성씨들이고, 호(胡)/원(袁)/하(夏)/공(孔)씨 등은 같은 진나라 자손 성씨들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 성씨들도 진씨계로 보기도 한다. 중화성씨통사-진성편이나, 중국진씨사이트 등에서는 같이 언급하고 있다.) 한나라 때 광릉 진씨는 사위 유(劉)씨가 대를 이었고 당대에도 인구수가 많았다고 한다. 한나라 때 백영귀(白永貴)의 자손이 진(陳)씨가 되었다고 한다. 다른 갈래로 강성(姜姓)계열 진씨들이 있는데 본래 강씨(姜氏)였던 사령운(謝靈運)의 자손이 진(陳)씨로 변경했는데, 그 후예들이 베트남 리 왕조 때 공족이었다가 베트남 쩐 왕조를 세웠다고 전한다. 또한, 강태공(姜太公)의 후손이자 발해 고씨(高氏)인 송나라 태위 고경의 자손 중 하나가 진씨(陳氏)녀와 혼인하였는데, 장인의 성을 따서 진씨로 개성 했으며, 이후 자손들이 발해진씨, 해령진씨가 되어 청나라에서 명문거족으로서 큰 세력을 떨치기도 하였다. 중국의 유명 인물로 진패선(陳覇先)은 중국 남조 진(陳)의 개국자이다.2. 2. 한국 진(陳)씨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 따르면 진(陳)씨는 159,339명으로 한국 성씨 인구 순위 48위이다. 본관은 여양, 삼척, 강릉, 나주, 광동, 남해, 덕창, 신광 등 47본이 있다.중국 송(宋) 복주(福州) 출신 '''진수'''(陳秀)가 요금(遼金)의 난을 피해 고려에 건너와 여양현(驪陽縣) 덕양산(德陽山) 아래에 정착한 것이 시초라고 한다.
2. 2. 1. 본관별 시조 및 분파
- '''삼척 진씨(三陟 陳氏)''' 시조 '''진경'''(陳鏡)은 고려 태조 때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로 시중(侍中), 상서(尙書), 태보(太保) 등을 역임하고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에 올랐다고 한다. 진경(陳鏡)의 16세손 진의(陳懿)가 1296년(고려 충렬왕 2) 삼척군에 봉해졌다. 진충귀(陳忠貴)가 1395년(태조 4) 조선 개국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 2015년 인구는 10,252명이다.
- '''여양 진씨(驪陽 陳氏)''' 시조 '''진총후'''(陳寵厚)의 아들 '''진준'''(陳俊)이 고려 명종조에 참지정사(叅知政事)·판병부사(判兵部事)에 이르렀다.[3] 여양은 충청남도 홍성군 장곡면 일대의 고려시대 지명이다. 여양 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4명을 배출하였다.[4]
- '''나주 진씨(羅州陳氏)''' 시조 진온(陳溫)은 여양 진씨(驪陽陳氏) 시조 진총후(陳寵厚)의 증손자로 고려 강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한림학사(翰林學士), 예빈경(禮賓卿), 지공주사(知公州事)를 지내고 지나주사(知羅州事)를 지냈다고 한다. 2015년 인구는 4,167명이다.
- '''강릉 진씨(江陵 陳氏)''' 시조 진신언(陳臣彦)은 여양 진씨(驪陽陳氏) 시조 진총후(陳寵厚)의 11세손으로 전의소감(典醫少監)을 지냈다고 한다. 2000년 인구는 4,284명이다.
- 남해 진씨(南海陳氏) 시조 진우(陳禑)는 고려 조에 예빈사사(禮賓寺事)를 지냈다고 한다. 2000년 인구는 503명이다.
- '''광동 진씨'''(廣東陳氏)의 시조(始祖) '''진린'''(陳璘)은 정유재란 때 명나라 도총관(都摠管)‧전군도독부도독(前軍都督府都督)으로서 이순신과 더불어 왜적을 물리치는데 공(功)을 세워 광동백(廣東伯)에 봉해졌다. 그의 손자 진영소(陳泳溸)가 조선에 들어와 전라도 해남현 내해리에 정착하였다.[5] 2015년 인구는 2,397명이다.
2. 2. 2. 대표적인 인물
- 진의종(陳懿種), 제17대 국무총리
- 진념(陳稔), 제9대 재정경제부 장관
- 진대제(陳大濟), 제49대 정보통신부 장관
- 진보라 (1987년 출생), 대한민국 피아니스트, 작곡가
- 진보라 (예명 선데이, 1987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뮤지컬 배우
- 진채선 (1842년–?), 한국의 판소리 명창
- 진갑용 (1974년 출생), 대한민국 은퇴한 야구 선수
- 진경 (1972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진구 (1980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진기주 (1989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진대성 (1989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진대제 (1952년 출생), 대한민국 기업인, 전 정치인
- 진덕산 (1972년 출생), 대한민국 전 필드하키 선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진모영 (1970년 출생), 대한민국 다큐멘터리 영화 감독
- 진민섭 (1992년 출생), 대한민국 장대높이뛰기 선수
- 진미정 (1978년 출생), 대한민국 농구 선수
- 진선국 (1970년 출생), 대한민국 전 육상 단거리 선수
- 진선규 (1977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진선미 (1967년 출생), 대한민국 정치인
- 진선유 (1988년 출생), 대한민국 쇼트트랙 선수
- 진성욱 (1993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진소연 (1991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모델
- 진순진 (1974년 출생), 대한민국 은퇴한 축구 선수
- 진영 (1950년 출생), 대한민국 정치인
- 진예솔 (1985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진윤성 (1995년 출생), 대한민국 역도 선수
- 진은숙 (1961년 출생), 대한민국 작곡가
- 진은영 (1970년 출생), 대한민국 시인, 철학자
- 진종오 (1979년 출생), 대한민국 사격 선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진준탁 (1949년 출생), 대한민국 전 배구 선수
- 진중권 (1963년 출생), 대한민국 평론가, 교수
- 진창수 (1985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진창욱 (1972년 출생), 대한민국 배구 선수
- 진해수 (1986년 출생), 대한민국 프로 야구 선수
- 진혁, 대한민국 텔레비전 드라마 연출가
- 진호은 (2000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진호준 (2002년 출생), 대한민국 태권도 선수
- 진환 (1913년–1951년), 한국 화가
- 진희경 (1968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키도 (본명 진효상, 1992년 출생), 대한민국 음악가
- 진지희 (1999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진상훈 (1986년 출생), 대한민국 배구 선수
3. 진(秦)
일본서기에 따르면 백제 근초고왕 때 열도 제후국 남제에서 백제로 온 신(神)씨들이 있었는데, 당대 진/신은 혼용 발음이어서 진(秦)씨로 바뀌었다고 한다. 그 무렵 근초고왕은 강원도를 정벌해서 영토로 삼았는데, 진(秦)씨들이 강원도 지역 일대에 살다가 6세기 남하하였다고 한다. 신라 문무왕 때 진기촌도리(秦忌寸都理)가 일본에 건너가 사찰 건축 기술 등을 전파했다는 기록이 있다.
'''진(秦)'''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19,301명으로 조사되었다. 1039년(정종 5년) 우산기상시에 오른 진현석(秦玄錫)이 고려사에 기록되어 있다. 진(秦)씨는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通譜, 1926)와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등의 문헌에 54본까지 기록되어 있으나, 풍기 진씨, 진주 진씨를 제외한 나머지 본관의 유래와 세계는 알 수 없다.
풍기 진씨의 시조 진필명(秦弼明)은 당 고종 때 병부시랑을 지냈으며, 나당 연합군의 장수로 참전하여 백제를 멸망시킨 뒤 신라에 귀화하여 태원백에 봉해졌다고 한다. 진주 진씨의 시조 진욱(秦郁)은 고려시대 박사보리공신으로 진주군에 봉해졌다. 남원 진씨(南原秦氏)의 시조 진왕도(秦王道)는 진필명(秦弼明)의 19세손이다.
3. 1. 중국 진(秦)씨
중국 진(秦, 병음: Ch'in, Cin)씨는 중국 성씨 순위 74위로 4가지 계통이 있다고 한다. 기원전 8세기 무렵 로마인이 창성한 진씨, 전욱/백익 후예 영성 조씨 계통의 진씨, 주문왕 희성 진씨, 순임금 때 래(来)성에서 개성한 진씨 등이 있다고 한다. 시안/장안은 주나라 초기 수도였던 곳으로 주문왕 계열의 본관이다. 그 외 소수 다른 계열도 있다고 한다.연나라 장수 '''진개'''(秦開)는 고조선을 경략하여 영토를 현재의 압록강 지역까지 확대하였다.[1] 진개의 손자 '''진무양'''(秦舞陽)은 진시황제를 암살하려 했던 형가의 부장이다.[1] 이와 관련하여 중국문물국이 2000년 다링허(대릉하) 길목의 랴오닝성 젠창셴(建昌縣) 둥다장쯔(東大杖子)촌의 '적석목곽분'을 발굴했는데, 청동단검과 연나라 토기들이 함께 출토되었다. 조사국은 이를 진개, 또는 연나라 사람들과 관련된 유물로 추정하였다. 진개와 진무양 부자의 정확한 출신은 전하지 않는다.
3. 1. 1. 대표적인 인물
3. 2. 한국 진(秦)씨
일본서기에 따르면 백제 근초고왕 때 열도 제후국 남제에서 백제로 온 신(神)씨들이 있었는데, 당대 진/신은 혼용 발음이어서 진(秦)씨로 바뀌었다고 한다. 그 무렵 근초고왕은 강원도를 정벌해서 영토로 삼았는데, 진(秦)씨들이 강원도 지역 일대에 살다가 6세기 남하하였다고 한다. 신라 문무왕(701년)의 명령에 따라 진기촌도리(秦忌寸都理)가 일본에 건너가 사찰 건축 기술 등을 전파했다는 기록이 있다. 7세기 이후에는 신라계 호족이 일본에서 왕실을 견제하는 세력으로 성장하였다고 한다.'''진(秦)'''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19,301명으로 조사되었다. 1039년(정종 5년) 우산기상시에 오른 진현석(秦玄錫)이 고려사에 기록되어 있다. 진(秦)씨는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通譜, 1926)와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등의 문헌에 54본까지 기록되어 있으나, 풍기 진씨, 진주 진씨를 제외한 나머지 본관의 유래와 세계는 알 수 없다.
3. 2. 1. 본관별 시조 및 분파
- '''풍기 진씨(豐基 秦氏)'''의 시조 '''진필명(秦弼明)'''은 당 고종 때 병부시랑(兵部侍郞)을 지냈으며, 660년(태종무열왕 7) 대사마대장군(大司馬大將軍)으로 소정방(蘇定方) 등과 함께 나당(羅唐) 연합군의 장수로 참전하여 백제를 멸망시킨 뒤 신라에 귀화하여 태원백(太原伯)에 봉해졌다고 한다. 그의 15세손 진질명(秦礩溟)은 고려 의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으로 정중부(鄭仲夫)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워 기주부원군(基州府院君)에 봉해졌다. 진질명의 형 진질직(秦礩直)과 진질황(秦礩晃)의 후대에서 삼척파(三陟派)과 영춘파(永春派)로 분파되었다. 풍기 진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5명을 배출하였다.[6] 2015년 기준 인구는 12,974명이다.
- '''진주 진씨(晉州 秦氏)'''의 시조 '''진욱'''(秦郁)은 고려시대 박사보리공신(博士輔理功臣)으로 진주군(晋州君)에 봉해졌다. 진욱(秦郁)의 둘째 아들 진계백은 고려 공민왕 때 찬성사(贊成事)로서 홍윤‧최만생 등과 정사(政事)를 논하다가 그들이 모반을 계획하자 화를 면하기 위해 제주도로 피거함으로써 제주 입향조가 되었다. 진주 진씨는 찬성사 진계백이 제주도에 발을 처음 들여 놓은 후부터 애월읍‧한림읍 등지에 집중 세거하였으므로 오늘날 진주 진씨의 대부분이 제주도에 살고 있다.[7] 2000년 기준 인구는 1,582명이다.
- 남원 진씨(南原秦氏)의 시조 진왕도(秦王道)는 도시조(都始祖) 진필명(秦弼明)의 19세손이다. 그는 전서를 지낸 진중기(秦中起)의 아들이다. 시조에게는 진군옥(秦君玉), 진군명(秦君命), 진수연(秦壽年), 진세영(秦世榮) 등 4형제가 있었다. 2000년 기준 3,565명이다. 광복 전에는 개성시에 집성촌이 있었다고 한다. 남원진씨(南原晋氏) 와는 전혀 다른 성씨이다. 조선시대 사마시 과거 급제자는 다음과 같다.
이름 | 생년 | 급제년 | 등위 |
---|---|---|---|
진응헌(秦應憲) | 1797년(정사년, 丁巳生) | 순조 16년(1816) | 삼등(三等) |
진상목(秦尙穆) | 1783년(계묘년, 癸卯生) | 순조 16년(1816) | 이등(二等) |
진응록(秦應祿) | 1797년(정사년, 丁巳生) | 순조 16년(1816) | 이등(二等) |
진순팔(秦舜八) | 1741년(신유년, 辛酉生) | 영조 50년(1774) | 삼등(三等) |
진중박(秦中璞) | 1791년(신해년, 辛亥生) | 순조 28년(1828) | 일등(一等) |
진봉량(秦鳳良) | 1817년(정축년, 丁丑生) | 헌종 원년(1835) | 삼등(三等) |
진득록(秦得祿) | 1754년(갑술년, 甲戌生) | 정조 13년(1789) | 삼등(三等) |
진응복(秦應福) | 1799년(기미년, 己未生) | 순조 31년(1831) | 삼등(三等) |
진순좌(秦舜佐) | 1741년(신유년, 辛酉生) | 영조 44년(1768) | 이등(二等) |
진성렴(秦成濂) | 1843년(계묘년, 癸卯生) | 고종 22년(1885) | 삼등(三等) |
3. 2. 2. 대표적인 인물
- 진형구(秦炯九): 제17대 대검찰청 공안부장
- 진성호(秦聖昊): 제18대 국회의원
- 진종오(秦鍾午): 제22대 국회의원
- 진보라 (예명 선데이, 1987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뮤지컬 배우
- 진보라 (1987년 출생): 대한민국의 피아니스트, 작곡가
- 진채선 (1842년–?): 한국의 판소리 명창
- 진창수 (1985년 출생):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 진창욱 (1972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 진대제 (1952년 출생): 대한민국의 기업인, 전 정치인
- 진대성 (1989년 출생):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 진덕산 (1972년 출생): 대한민국의 전 필드하키 선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진은영 (1970년 출생): 대한민국의 시인, 철학자
- 진구 (1980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진해수 (1986년 출생): 대한민국의 프로 야구 선수
- 진희경 (1968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진호은 (2000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진호준 (2002년 출생): 대한민국의 태권도 선수
- 진환 (1913년–1951년): 한국 화가
- 키도 (본명 진효상, 1992년 출생): 대한민국의 음악가
- 진혁: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연출가
- 진지희 (1999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진종오 (1979년 출생): 대한민국의 사격 선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진준탁 (1949년 출생): 대한민국의 전 배구 선수
- 진중권 (1963년 출생): 대한민국의 평론가, 교수
- 진갑용 (1974년 출생): 대한민국의 은퇴한 야구 선수
- 진기주 (1989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진경 (1972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진미정 (1978년 출생):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 진민섭 (1992년 출생): 대한민국의 장대높이뛰기 선수
- 진모영 (1970년 출생): 대한민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감독
- 진상훈 (1986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 진선규 (1977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진성욱 (1993년 출생):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 진소연 (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모델
- 진순진 (1974년 출생): 대한민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
- 진선국 (1970년 출생): 대한민국의 전 육상 단거리 선수
- 진선미 (1967년 출생): 대한민국의 정치인
- 진선령 (1971년 출생): 대한민국의 사격 선수
- 진선유 (1988년 출생):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
- 진은숙 (1961년 출생): 대한민국의 작곡가
- 진예솔 (1985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진영 (1950년 출생): 대한민국의 정치인
- 진윤성 (1995년 출생): 대한민국의 역도 선수
4. 진(晉)
진(晉)씨는 주나라 때 제후국 진(晉)나라 호족의 성씨이다. 주나라 무왕의 아들 당숙우(唐叔虞)가 진나라에 봉해지고, 자손들이 진(晉), 한(韓), 위(魏)씨로 나뉘었다고 전한다.
4. 1. 한국 진(晉)씨
한국 진(晉)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7,566명으로 조사되었다. 본관은 남원 단본이다. 《고려사》에 최초로 기록된 진(晉)씨 성을 가진 인물은 958년(광종 9년) 최초로 실시된 과거시험에서 갑과(甲科)로 급제하여 광문원소감(光文院少監)을 역임한 향공진사(鄕貢進士) 진긍(晉兢)이며,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되어 있다.[8]4. 1. 1. 본관별 시조 및 분파
남원 진씨(南原晉氏) 시조 '''진함조'''(晉含祚)는 1023년(고려 현종 14)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에 올랐다.[9] 진광인(晉光仁, 1128년 ~ 1186년)은 1185년 병부시랑(兵部侍郞)에 이르렀다. 진광인의 후손인 진석(晉錫)이 고려 고종 때 거란의 침입이 있었을 때 공(功)을 세워 남원군(南原君)에 봉해졌다.[10]4. 2. 중국 진(晉)씨
주나라 때 제후국 진(晉)나라 호족의 성씨다. 주나라 무왕의 아들 당숙우(唐叔虞)가 진(晉)나라에 봉해지고, 자손들이 진(晉), 한(韓), 위(魏)씨로 나뉘었다고 전한다.5. 진(眞)
진(眞)씨는 백제의 8대 귀족 성씨 중 하나이다. 《삼국사기》 기록에 따르면 진고도는 백제 근구수왕 때 내신좌평, 진무는 아신왕 때 병관좌평, 진가모는 근초고왕 때 병관좌평, 진정은 근초고왕 때 조정좌평이었다. 신라에서는 진공(眞功)이 신문왕 때 대아찬, 진복(眞福)이 신문왕 때 상대등을 지냈다.[11] 진호는 후백제 견훤 때 관료였다.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진(眞)씨는 1,579명으로 조사되었으며, 본관은 서산 진씨(瑞山 眞氏) 단본이다.
5. 1. 한국 진(眞)씨
진(眞)씨는 백제의 8대 귀족 성씨 중 하나이다. 《삼국사기》 등 문헌에 따르면 진고도는 백제 근구수왕 때 내신좌평(內臣佐平)이었고, 진무는 아신왕 때 병관좌평, 진가모는 근초고왕 때 병관좌평, 진정은 근초고왕 때 조정좌평이었다. 신라에서는 진공(眞功)이 신문왕 때 대아찬, 진복(眞福)이 신문왕 때 상대등을 역임했다.[11] 진호는 후백제 견훤 때 관료였다.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진(眞)씨는 1,579명으로 조사되었으며, 본관은 서산 진씨(瑞山 眞氏) 단본이다.
5. 1. 1. 백제, 신라의 진(眞)씨
백제의 8대 귀족 성씨 중 하나이다. 《삼국사기》 등 문헌에 따르면 진고도는 백제 근구수왕 때 내신좌평(內臣佐平)이었다. 진무는 백제 아신왕 때 병관좌평이었다. 진가모는 백제 근초고왕 때 병관좌평이었다. 진정은 백제 근초고왕 때 조정좌평으로 임명되었다. 진공(眞功)은 신라 신문왕 때 대아찬이었다. 진복(眞福)은 신라 신문왕 때 상대등이었다.[11] 진호는 후백제 견훤 때 관료였다.6. 기타 한국의 진(陳, 秦, 晉, 眞)씨 인물
- 진보라 (1987년 출생): 대한민국의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이다.
- 진채선 (1842년–?): 한국의 판소리 명창이다.
- 진창수 (1985년 출생):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 진창욱 (1972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이다.
- 진대제 (1952년 출생): 대한민국의 기업인이자 전 정치인이다.
- 진대성 (1989년 출생):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 진덕산 (1972년 출생): 대한민국의 전 필드하키 선수이자 올림픽 은메달리스트이다.
- 진은영 (1970년 출생):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철학자이다.
- 진구 (1980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진해수 (1986년 출생): 대한민국의 프로 야구 선수이다.
- 진희경 (1968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진호은 (2000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진호준 (2002년 출생): 대한민국의 태권도 선수이다.
- 진환 (1913년–1951년): 한국 화가이다.
- 키도 (본명 진효상, 1992년 출생): 대한민국의 음악가이다.
- 진혁: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연출가이다.
- 진지희 (1999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진종오 (1979년 출생): 대한민국의 사격 선수이자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다.
- 진준탁 (1949년 출생): 대한민국의 전 배구 선수이다.
- 진중권 (1963년 출생): 대한민국의 평론가이자 교수이다.
- 진갑용 (1974년 출생): 대한민국의 은퇴한 야구 선수이다.
- 진기주 (1989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진경 (1972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진미정 (1978년 출생):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이다.
- 진민섭 (1992년 출생): 대한민국의 장대높이뛰기 선수이다.
- 진모영 (1970년 출생): 대한민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감독이다.
- 진상훈 (1986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이다.
- 진선규 (1977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진성욱 (1993년 출생):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 진소연 (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모델이다.
- 진순진 (1974년 출생): 대한민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다.
- 진선국 (1970년 출생): 대한민국의 전 육상 단거리 선수이다.
- 진선미 (1967년 출생):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진선령 (1971년 출생): 대한민국의 사격 선수이다.
- 진선유 (1988년 출생):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이다.
- 진은숙 (1961년 출생): 대한민국의 작곡가이다.
- 진예솔 (1985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진영 (1950년 출생):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진윤성 (1995년 출생): 대한민국의 역도 선수이다.
- 진보라 (예명 선데이, 1987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뮤지컬 배우이다.
참조
[1]
웹사이트
진[晉]
https://terms.naver.[...]
Doosan Encyclopedia
[2]
웹사이트
진[陳]
https://terms.naver.[...]
Doosan Encyclopedia
[3]
서적
『고려사』 권100, 열전13
https://terms.naver.[...]
[4]
간행물
여양 진씨
한국학중앙연구원
[5]
간행물
광동 진씨
한국학중앙연구원
[6]
간행물
풍기 진씨
한국학중앙연구원
[7]
간행물
진주 진씨
한국학중앙연구원
[8]
문서
〈진광인 묘지명〉: “公之先, 赴自帶方. 鼻祖晋兢, 應鄕貢進士擧, 於光宗朝顯德五年, 擢甲第春官, 位至光文院少監.”
[9]
서적
《고려사》 권 5, 〈세가〉 5, 현종 14년(1023년) 1월 17일(임오)
1023-01-17
[10]
간행물
남원 진씨
한국학중앙연구원
[11]
문서
신라의 신하인 진공과 진복은 진(眞)씨가 아니고 김(金)씨일 가능성이 높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